어피치 컷
초롱무 나오는시기, 파종시기, 초롱무란? 본문
초롱무는 일반 무와 알타리무 사이에서 개량된 특별한 품종입니다. 크기는 알타리무보다 크고 동치미무보다 작으며, 일반 무와 비슷한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맵지 않고 단단하며 맛있는 것이 특징이고, 육질이 연하면서도 아삭한 식감을 선사합니다. 일반 무에 비해 다듬기가 쉬운 장점도 있습니다.
초롱무의 특징과 맛
초롱무는 잎과 뿌리 모두 식용이 가능한 아삭형 무입니다. 약간의 매운맛이 있지만 익히면 그 맛이 사라집니다. 알타리무와 비교했을 때 약간 맵고 쓴맛이 있으나, 질감은 더 부드러운 편입니다.
김치, 생채, 깍두기, 동치미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롱무 김치는 9-10월 김장 전에 담가 먹었던 김치로, 알타리 김치보다 알싸하고 시원한 맛이 특징입니다.

초롱무 제철과 파종 시기
초롱무는 주로 가을과 겨울에 제철을 맞이하며, 9-10월에 수확합니다. 재미있게도 초롱무는 '잠깐 나왔다 들어가는' 특성이 있어 부지런한 사람이 아니면 김치를 담그기 어렵다는 말도 있습니다.
파종 시기는 보통 여름철인 7-8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중부지방에서는:
- 7-8월에 파종하여 9월 초-9월 말에 수확
- 9월 21일에 파종하여 11월 15일경에 수확하기도 함
초롱무는 고온기 재배에 강한 특성이 있어 평지에서도 여름 재배가 가능합니다. 7월 파종 시 약 40일 정도면 수확이 가능합니다.
초롱무 재배 시 유의사항
초롱무를 성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재식 거리: 알타리형 수확 시 15 × 20cm 정도, 다발무 수확 시는 120cm 이랑에 4줄로 20cm 간격으로 점파
- 토양 관리: 과습한 장마기에는 반드시 이랑을 높여 뿌리의 묵흑증상 예방
- 적기 수확: 근비대가 빠르므로 수확 지연 시 바람들이 발생 우려
- 파종 시기: 파종기가 늦어지면 근비대가 늦어질 수 있음
- 비료 관리: 질소질 비료의 과다 시비는 지상부만 무성해지고 품질 저하
- 여름철 관리: 서늘한 환경(고랭지)과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건강하게 성장
초롱무의 효능과 고르는 법
초롱무는 무기물과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여 다양한 건강상 이점을 제공합니다:
- 소화 촉진 및 변비 예방
- 위장 건강 증진
- 고혈압 및 빈혈 예방
- 담석 예방
- 면역력 증진
좋은 초롱무 고르는 법:
- 표면이 단단하고 고르며 매끄러운 것
- 무 허리가 둥글고 썩지 않은 것
- 잎에 흠이 없고 싱싱하고 억세지 않은 것
- 뿌리 쪽이 넓고 크기가 균일한 것
- 들었을 때 무게감이 있는 것
김치 담글 때는 아삭한 식감을 원하면 알타리무를, 부드러운 식감을 원하면 초롱무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