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어피치 컷

댐과 보의 차이 본문

카테고리 없음

댐과 보의 차이

trailing 2025. 4. 7. 08:26

하천을 가로지르는 수리 구조물인 댐과 보는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목적과 기능, 규모 면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댐과 보의 정의부터 환경적 영향까지 체계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정의 및 법적 기준의 차이

댐은 「댐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하천의 흐름을 막아 물을 저장하고 이를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발전, 홍수 조절 등에 활용하기 위한 높이 15m 이상의 공작물로 정의됩니다. 반면 보는 「하천설계기준」에 의해 용수 취수와 수면 활용을 위해 수위를 높이고 조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시설물입니다. 보는 일반적으로 높이가 15m 미만이며, 양 끝이 제방이나 하안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댐과 보의 차이

기능 및 목적의 차이

댐과 보는 각각 다른 주요 기능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댐의 주요 기능

  • 홍수 조절: 물을 가두어 홍수 피해 경감

  • 용수 공급: 가뭄 시 생활/공업/농업용수 공급
  • 수력 발전: 전력 생산

  • 보의 주요 기능

  • 취수: 하천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취수 용이
  • 수위 유지: 농업용수 공급, 선박 운항 지원
  • 조수 방지: 하구둑 형태로 조수 역류 차단

규모 및 구조적 특성

댐은 일반적으로 보보다 규모가 크며, 수문이나 여수로를 갖추어 수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반면 보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많은 경우 수문이 없어 수위 조절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보의 경우, 규모는 댐에 가깝지만 수위 조절 기능이 제한적이어서 "보"로 분류됩니다.

환경적 영향 비교

댐은 건설 시 넓은 지역의 수몰을 초래하고, 생태계 파괴와 어류 이동 차단 등 상당한 환경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댐은 또한 테러나 자연재해에 대비한 철저한 경계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보는 댐에 비해 수몰 영향은 적지만, 수질 악화, 생태계 단순화, 어류 이동 방해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댐과 보의 특징 요약

구분
정의 하천 흐름을 막아 저수를 이용하는 높이 15m 이상 공작물 용수 취수, 수위 유지 등을 위해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시설물
주요 기능 홍수 조절, 용수 공급, 수력 발전 취수, 수위 유지, 조수 방지
규모 대규모 소규모
수위 조절 수문 또는 여수로를 통해 가능 수문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제한적
환경 영향 넓은 지역 수몰, 생태계 파괴, 어류 이동 차단 수질 악화, 생태계 단순화, 어류 이동 방해

댐과 보는 각각 고유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 수리 구조물로, 수자원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구조물 모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댐과 보의 차이 댐과 보의 차이